낙서장/신문 기사들

차례상 안차리고 마음만… 벌초? 어휴, 대행도 쓰죠

joyhome 2018. 9. 22. 15:57

차례상 안차리고 마음만벌초? 어휴, 대행도 쓰죠

퇴계 종손의 추석 예기

 

동아일보 입력 2018-09-22 임우선기자

 

 

 

 퇴계 17대 종손 이치억씨 명절나기

추석을 어떻게 보내느냐고요? 정말 아무것도 안 해요. 차례도 지내지 않고. 아버지 모시고 가족들이랑 근교로 나들이나 갈까 해요.”

 

19일 서울 경복궁 옆 카페에서 만난 이치억 성균관대 유교철학·문화콘텐츠연구소 연구원(42·사진)은 추석 계획을 묻자 싱긋 웃으며 이렇게 말했다. 이 연구원은 퇴계 이황의 17대 종손이다. 1000원짜리 지폐에 그려진 이황이 누군가? 조선 성리학의 기초를 세운 인물 아닌가. 그런 뼈대 있는 가문의 자손이 차례를 안 지낸다고?

 

추석엔 원래 차례를 지내는 게 아니에요. 추석은 성묘가 중심인데, 저희는 묘가 워낙 많아 일부는 (벌초) 대행을 맡겼어요. 그리고 성묘는 양력으로 10월 셋째 주 일요일을 묘사(墓祀)로 정해 그때 친지들이 모여요. 그러니 추석은 그냥 평범한 연휴나 다를 게 없죠.”

 

종갓집답지 않은 이 오붓한 추석은 10여 년 전 이 연구원의 부친이자 이황의 16대 종손인 이근필 옹(86)의 결단에서 시작됐다. “아버지는 무척 열린 분이세요. 예법을 그냥 답습하지 않고 그 의미가 뭔지 계속 고민하셨죠. 집안 어르신들도 변화를 거부해선 안 된다는 생각을 갖고 계셨고요.”

퇴계 종가는 제사상이 단출하기로도 유명하다. ‘간소하게 차리라는 집안 어른들의 가르침 때문이다. 한때는 1년에 20번 가까이 제사를 지냈지만 현재는 그 횟수가 절반 이하로 줄었다. 만약 집안 어른이 자손들에게 조선시대의 제사 형식을 고수하라고 한다면 그 제사가 유지될 수 있을까요? 오히려 자손들이 등을 돌려 아예 없어지고 말 거예요. ()란 언어와 같아서 사람들과 소통하면 살아남지만, 그렇지 못하면 사라지고 말죠. 시대와 정서에 맞는 변화가 필요해요.”

 

제사가 있을 때는 이 연구원도 부엌에 들어간다. “음식 만들기엔 소질이 없지만 설거지는 제가 해요(웃음).” 할아버지, 할머니는 설거지하는 손자를 받아들이지 못했지만 그의 아버지는 단 한 번도 뭐라 한 적이 없었다.

 

 

관련기사며느리 잡는 차례상? 과일-송편으로 충분 전 안올려도 돼요

온라인 조회수 3400만건정부-기업 제도 개선 이끌어

 

 

원래 예에는 원형(原型)이 없어요. 처음부터 정해진 형식이 있는 게 아니라 자연스럽게 우러나오는 마음을 따라 하다 보니 어떤 시점에 정형화된 것이죠. 우리가 전통이라고 믿는 제사도 조선시대 어느 시점에 정형화된 것인데 그게 원형이라며 따를 필요는 없다고 봐요. 형식보다 중요한 건 예의 본질에 대한 성찰이에요.”

 

그는 우린 평소 조상을 너무 잊고 산다명절만이라도 라는 한 사람의 뿌리인 조상을 기억하고 감사하는 것, 가족과 화목하게 지내는 것, 그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말했다.

 

임우선 기자 imsun@donga.com

 

http://news.donga.com/Main/3/all/20180922/92125046/1

 

** 참고

 

반복되는 명절 스트레스 신예기 시리즈에서 답을 찾으세요!

http://news.donga.com/Main/3/all/20180921/92116597/1

 

 

 

며느리 잡는 차례상? 과일-송편으로 충분전 안올려도 돼요

http://news.donga.com/Main/3/all/20180922/92125084/1

 

 

온라인 조회수 3400만건정부-기업 제도 개선 이끌어

일상속 불합리함 지적 큰 반향도련님-아가씨호칭 고치기로

http://news.donga.com/Main/3/all/20180922/92125093/1